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close

맨위로

전체카테고리
  • 도서
  • 어린이
  • 성경
  • QT 월간지
  • 교회전도용품
  • 팬시리빙
  • 뮤직
  • 공과.교재
  • MADE.크리스챤하우스
CUSTOMER CENTER
공지사항
질문과답
상품후기
디자인 / 시안
디자인확인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

기본 정보
상품명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
소비자가 50,000원
판매가 45,000원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옵션선택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 수량증가 수량감소 45000 (  )
TOTAL(QUANTITY) : 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도서명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
저자/출판사조은하, 한국일/대한기독교서회
ISBN9788951121531
크기152*225mm
쪽수832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24-03-01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설명참조











책 소개 요약


교회의 본질적 사명은 ‘모든 도시와 마을을 두루 다니시며’ 가르치고, 전파하고, 고치신 예수의 지상사역을 교회를 통해 계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마을 안에서, 마을 사람과 더불어, 마을을 위해 사역하는 것이다.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은 교회라는 건물을 넘어서 지역사회와 열린 관계로 친밀한 협력을 통해 아름답고 행복한 마을을 만들어가는 다양한 교회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현장 목회자와 신학자가 함께 집필한 이 책은 단순한 사례집이나 이론서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목회 현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적 안내서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교회의 희망을 재발견하게 될 것이며,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마을목회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함께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 책은 한국어 출판과 함께 영국 래그넘출판사에서 영문으로도 발간되어 세계교회에 소개될 예정이다.


출판사 서평


한국교회의 새로운 이정표, 마을목회를 말하다

지금은 문명전환의 시대이다.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생태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위기, 연령별·종교별 인구 변동, 신냉전시대로 인한 평화의 위협 등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급변하는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생명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 것인지는 교회와 신학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과제이다.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은 어떻게 하면 교회가 본래적 사명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의 비전과 희망을 찾을 수 있겠는가 하는 신학적이고 목회적인 고민으로부터 출발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교회의 본래적 사명은 오직 영적 구원만을 위해 헌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 안에 현존하면서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사” 가르치고, 전파하며, 고치는 사역을 행하신 예수의 지상사역을 계속 실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마을 안에서, 마을 사람과 더불어, 마을을 위해 사역하는 것이다.
이 책을 기획한 ‘가정·교회·마을연구소’는 교회를 통하여 가정을 살리고, 지역사회와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해갈 수 있도록 이론을 연구하고 현장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16년에 세워진 연구기관이다. 교회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소 측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을 실천하는 교회가 이 땅에 아직도 실제로 존재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이러한 질문은 실제 마을목회를 하고 있는 교회들의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데로 이어졌다. 이 일을 위해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총회한국교회연구원(예장통합), 한국얌스펠로쉽이 함께 힘을 모았다.
이 책은 전국에서 마을의 친구가 되고, 마을의 변화를 함께 이끌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가치가 실현되도록 애쓰고 있는 교회들의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다. 목회자의 믿음과 영성과 헌신으로 시작하여 성도들의 잠재된 자원들을 발굴하고, 지역사회 및 주민들과 긴밀하게 교제하며 함께 서로 협력하여 복음을 교회 안에서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선교적 교회들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이 보다 특별한 점은 하나의 교회를 목회자와 신학자가 함께 연구하고 저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목회자는 자신이 목회하는 교회 현장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으로 서술하고, 신학자는 그 내용을 근거로 교회가 걸어온 길과 활동의 신학적 의미를 연구했다. 목회자와 신학자가 한 교회를 두고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면서 함께 집필하는 방식은 기존의 신학과 현장이 분리되어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장을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해줄 뿐 아니라, 한국교회에 목회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모색하는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이 책에 소개된 교회들은 모두 교회를 건물 안에 가두지 않고 지역사회와 열린 관계로 친밀한 협력을 통해 아름답고 행복한 마을을 만들어간다. 지역에서 시작한 풀뿌리 목회, 마을목회, 선교적 교회, 생명공동체운동이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진행되는 교회와 마을의 이야기는 교회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 그리고 전 세계교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큰 도전과 희망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목회 이론서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목회 현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적 안내서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마을목회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함께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 책은 한국어 출판과 함께 영국 래그넘출판사에서 영문으로도 발간되어 세계교회에 소개될 예정이다.


추천의 말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공동체적 가치를 강조하는 이 책은 교회와 지역사회가 서로 협력하여 성장해나가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마을목회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함께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김순미 장로 | 총회한국교회연구원 이사장

마을목회란 교회와 마을 사이에 놓인 담을 헐고, 마을의 공동체회복운동과 함께 잃어버린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교회와 목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운동입니다. 여기에 집필자로 참여하는 목회자는 큰 교회나 잘 알려진 목회자들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들이 섬기는 교회 이야기는 듣고 보는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며, 또한 교회에 희망을 갖게 합니다.
안광수 목사 |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이사장

이 책은 한국교회 안에서 자생적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마을목회를 실천하고 있는 교회들을 새롭게 발굴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참으로 의의가 깊습니다. 또한 각 사례를 목회자들은 현장의 시각으로, 신학자들은 신학적 관점에서 나란히 조명하였습니다. 신학자와 현장 목회자의 협력이 돋보이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재호 목사 | 한국얌스펠로쉽 이사장


지은이 소개


강아람 KANG, AH RAM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 & Th.D.)에서 공부하였다. 장신대 부설 연구기관인 세계선교연구원에서 전문학술지 편집 등 문서선교를 감당하였고, 장신대, 한일장신대, 숭실대에서 선교학을 강의하였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숭실대학교 교수 및 교목으로서 학원선교 사역을 감당하였다.

김도일 KIM, DOUIL
서울에서 태어나 초, 중, 고, 대학, 군대를 경험하였고, 청년 시절 미국에 이민 가서 이민생활을 경험하였다. 미국 바이올라대학교(B.A./M.A.), 프린스턴신학대학원(M.Div.),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Ed.D.)에서 수학하였고, 이민교회에서 목회하였다. 1997년에 귀국하여 교수생활을 시작하였고, 지금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가정·교회·마을연구소 공동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김영진 KIM, YOUNG JIN
목포에서 태어나 주로 광주와 서울에서 공부했다. 호남신학대학교, 기장총회 선교교육원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충남 보령에 와서 30년간 농촌 지역 목회를 하고 있으며 충남 보령의 마을 만들기와 보령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였다. 이런 목회활동을 통해 ‘자랑스러운 충남인’에 선정되었고, 여성친화도시협의회 활동을 통해 양성평등상을 받았다. 지금은 충남 보령의 공동체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역에서 예술과 어우러지는 사진예술과 공동체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김홍선 KIM, HONG SUN
목원대학교(B.Th.),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M.A.)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에서 공부하였다. 1985년부터 농촌(현 세종시)에서 첫 목회를 시작하여 안산 명성교회에 재부임하게 된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23년째 마을 안의 교회, 마을과 함께하는 교회를 지향하며 마을목회를 펼치고 있고, 교회와 마을에 기대어 교인들과 주민들께 신세지며 살고 있는 동네 목사이다.

남기업 NAM, KI UP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토지공개념의 원류인 헨리 조지 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와 서울교대에서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토지정의를 핵심으로 하는 부동산 개혁과 하나님 나라의 모형인 희년이 학문적·실천적 과제이고, 『공정국가』, 『아파트 민주주의』, 『희년』(공저), 『불로소득 환수형 부동산체제론』 외에 여러 책과 논문을 저술했다. 현재는 토지+자유연구소 소장으로, 수원성교회 사회환경선교부 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노영상 RO, YOUNG SANG
서울대학교(B.S.)와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M.Div., Th.M., Th.D.)에서 공부하고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호남신학대학교 총장, 백석대학교 교수, 한국기독교학회 회장,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회장, 숭실사이버대학교 이사장, 총회한국교회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한국외항선교회 상임회장, 바이블아카데미 총장, 사학윤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박미란 PARK, MI RAN
구좌제일교회 황호민 목사 아내로 제주에서 남편 목회를 돕다가, 하나님이 보내신 두 천사(조손가정의 남매)와의 만남을 계기로 마을에서 공부방을 운영하게 되었다. 한일장신대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쳐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장, 사단법인 마을교육공동체 별밭 대표로 마을에서 아이들과 나란히 걸으며 아름다운 마을 만들기와 다음세대를 품고 기도하고 있다.

박보경 PAEK, BO KYOUNG
경북대학교(B.S.),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미국 와트버그신학대학교(S.T.M.), 풀러신학대학교(Ph.D)에서 공부했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선교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ission Studies) 회장, 한국얌스펠로쉽(한국 선교의 신학화를 위한 인재양성을 위해 2020년 설립) 대표로 섬기고 있다.

박성원 PARK, SEONG WON
한양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Th.M.), 미국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교(D.Min.), 스위스 베른대학교(Dr.Theol.)에서 공부했다. 서울장로회신학교 교수, 세계개혁교회연맹(WCRC) 신학부 간사, 부산진교회 담임목사, 세계개혁교회연맹 협력과증언부 총무, 에큐메니컬 옹호연맹(Ecumenical Advocacy Alliance) 이사, 영남신학대학교 교수, 세계교회협의회(WCC) 중앙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오이코트리(Oikotree Global Movement, 세계경제생태정의운동) 대표, 경안대학원대학교 총장으로 섬기고 있다.

박창현 PAK, CHANG HYON
감리교신학대학교(B.A.), 독일 괴팅겐대학교(Mag.Theol.) 석사, 아우구스타나대학교 노이엔데텔사우(Dr.Theol.)에서 공부했다. 한국선교신학회장과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생처장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아현감리교회 소속 목사, 건강한목회연구소 소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학위원, 미국 웨슬리신학대학원 D.Min. 과정 자문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백영기 BACK, YOUNG GEE
장로회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다. 1992년 청주에서 영성, 자연, 문화를 지향하는 쌍샘자연교회를 개척하여 30년간 담임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생태자연도서관 봄눈 관장, 예장녹색교회협의회 공동대표, 총회기후위기위원회 위원, 그리고 청주기윤실 공동대표로 섬기고 있다.

백흥영 BAEK, HUNG YOUNG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M.Div.), 같은 대학 기독교교육대학원(MACE)에서 공부했다. 2018년 1월부터 황인성 목사와 함께 양평에 있는 공명교회 공동목사로, 책보고가게(서점) 책방지기로 사역하고 있다. 10년간 가정예배 책 저술과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서성환 SUH, SUNG HWAN
장로회신학대학(B.A., M.Div.),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에서 공부하였다. 예장(통합) 총회 선교사로 독일 뷔르템베르크주교회 선교동역자 겸 독일남부지방한인교회 위임 목사를 역임하였다. 귀국 후 제주성안교회 위임목사를 역임하고, 제주에서 사랑숨결교회를 개척하여 21년 동안 일하다가 은퇴하고 원로목사로 추대되었다. 2002년 3월 제주에서 사역하는 초교파 동역자들과 함께 제주사랑선교회(Jeju Love Mission)를 조직하여 초대회장으로 섬겼고, 현재까지 회원으로서 제주선교에 동참하고 있다.

안광수 AHN, KWANG SOO
총회신학대학(B.A.), 장로회신학대학원(M.Div.),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M.A.)에서 공부했다. 수원성교회 원로목사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MK사역위원회 위원장,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재판국 서기,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경기노회 노회장, 수원시 기독교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기아대책 수원화성지역회 이사장, 목회자 유가족협의회 이사장,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이사장, 하나호스피스 이사장, 경기성서신학원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창우 OH, CHANG WOO
장로회신학대학교(B.A.) 신학대학원(M.Div.) 풀러신학대학교(D.Min.)에서 공부했다. 38년째 서울 이태원로 한남제일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서울서노회장, 용산구교구협의회장, 총회평신도지도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지금은 한남동 은빛봉사단 단장, 용산구 프드뱅크마켓 운영위원장, 사회적협동조합 희년재단 이사장, 청년목회자 훈련을 위한 한국기독교목회지원네트워크 이사장, 마을공동체 품다 이사장, 총회외국인근로자후원회 회장, 총회 직장인선교회 회장, 총회교육커리큘럼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명석 LEE, MYEONG SEOK
성균관대학교(B.Eng.)와 총신신학대학원(M.Div.), 장신대학교세계선교대학원(Th.M.), 월스(Andrew F. Walls) 교수의 지도로 가나(Akrofi‐Christaller Institute)에서 공부했다. 1994년부터 8년간 이주노동자 사역을 하였고, C3TV 방송국장과 본부장을 지냈으며, 2002년부터 총회 파송 에큐메니컬 선교사로 가나에서 20년 근속하였다. 현재 아신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선교학회(IAMS)의 General Secretary, 한국얌스펠로쉽의 공동대표, 수원성교회 협동목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병옥 LEE, BYUNG-OHK
장로회신학대학교(Th.B., Th.M.), 미국 루터신학대학원(Ph.D.)에서 공부하였다. 선교적 교회 운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크레이그 밴 겔더(Craig Van Gelder)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지금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선교신학 교수,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장과 세계선교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며, 주요 관심은 선교적 교회와 리더십, 다문화선교, 선교적 관점에서 총회 조직의 변혁에 있다.

이원돈 LEE, WON DON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M.Div.)에서 공부하고 37년째 부천 새롬교회 담임목사로 재직하고 있다. 약대동 신나는도서관 관장,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생명목회 10년위원회 전문위원, 예장 마을목회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종명 LEE, JONG MYUNG
목원대학교에서 신학과(B.Th.), 호서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M.A.)을 공부했다. 1990년 충남 당진에서 서들교회를 개척하였고, 1994년 말 송악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사역하던 중 소천했다. 송악반딧불이지역아동센터 대표, (사단법인)온마을사람들 대표, 아산YMCA이사장, 감리교전국농촌선교목회자회 회장, 전국목회자정의평화협의회 공동의장 등을 역임했다.

이호군 LEE, HO GOON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종교철학(B.A.),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M.Div.), 세한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M.A.),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에서 사회적기업학(M.A.)을 공부했다. 지금은 해남새롬교회 담임목사로 재직하며, 해남YMCA 부이사장, 해남군 사회보장협의체 민간위원장, 해남교도소 교정위원 및 인성교육 강사, 해남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위원, 해남 초록가게 대표로 섬기고 있다.

정원범 CHUNG, WON BUM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Th.M., Th.D.)에서 공부하고 대전신학대학교에서 교수(35년)로 재직 후 은퇴하였다. 콜럼비아신학대학원(Columbia Theological Seminary), UTS, AMBS 객원교수, 한국기독교윤리학회 학회장, 총회(예장통합) 연구단체협의회 회장, 총회 『평화선교지침서』 집필위원회 위원장, 오이코스 여름(겨울)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세광교회 협동목사, 성 프란치스코평화센터 이사, 교회와사회연구소 소장, 사단법인 샬롬회복 이사장, 한국기독교코칭학회 학술원 원장, 한국교회생명신학포럼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은하 CHO, EUN HA
연세대학교(Th.B., Th.M., Ph.D.)에서 공부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겸임교수를 거쳐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에서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기독교자살예방센터 라이프호프 교육위원장, 전국신학대학협의회 사무총장,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지도위원, 가정·교회·마을연구소 공동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주희 CHO, JOO HEE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풀러신학대학교(D.Min.)에서 공부하였다. 현재 성암교회 위임목사,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대표, 서울장신대학교 이사, 은평구 사회복지협의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조해룡 CHO, HAE RYONG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대학원(M.Div., Th.M., Th.D.)에서 공부했다. 총회 파송 인도네시아 선교사로 8년간 사역 후 호남신학대학교 교수, 한국선교신학회 총무를 역임하고, 지금은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 사단법인 푸른하늘공동체 실행위원 서기, 총회 세계선교부 선교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한국일 HAN, KOOK IL
장로회신학대학교(B.A., M.Div., Th.M.), 독일 뮌스터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대학(Dr.Theol.)에서 공부하였다. 영남신학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선교학 교수로 재직한 후 2020년 은퇴하였다. 한국선교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총회직장선교연구소 소장과 가정·교회·마을연구소 공동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홍동완 HONG, DONG WAN
장로회신학대학교(Th.B.),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M.Div.)에서 공부했다. 갈릴리세계선교회(GWM)에서 세계 선교를 위한 사역을 했고 호주에서 엠마오바이블컬리지(Emmaus Bible College)와 선교단체인 지엘오(GLO)에서 선교훈련을 받았다. 지금은 강원도 홍천 산골마을 도심리에 도심리교회를 개척하여 마을 주민들과 주님을 섬기고 있다.

황병배 HWANG, BYUNG BAE
감리교신학대학교(B.A)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 미국 애즈베리신학대학교(Asbury Theological Seminary)에서 공부했다. 한국선교신학회, 로잔연구교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협성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한국교회선교연구소 소장, 감리교선교국전문위원, 감리교세계선교협의회 전문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황인성 HWANG, IN SUNG
서울대학교에서 생물 및 화학을 전공했고, 영국에서 평신도로 사역 후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 Ph.D.)에서 학위를 마쳤다. 현재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총무, 양평에 있는 책보고가게 책방지기, 공명교회 공동목회자로 사역하고 있다.

황홍렬 HWANG, HONG EYOUL
서강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 영국 버밍엄대학(Ph.D.)에서 공부하였다. 한민족평화선교연구소 연구실장, 부산장신대학교 선교학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은퇴하였다. 총회산하연구단체협의회 부회장, 한국선교신학회장, 부산장신대 세계선교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선교적교회마을목회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차례


발간사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두에게_가정·교회·마을연구소, 총회한국교회연구원, 한국얌스펠로쉽
추천사 1 교회와 목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기를_안광수
추천사 2 신학자와 현장 목회자의 협력이 돋보이는 책_조재호
추천사 3 한국교회의 새로운 이정표, 마을목회_김순미
편집자의 글 마을목회가 쏘아올린 희망_조은하, 한국일

제1부 시대의 징조와 신학적 대응

제1장 생명문명 생명공동체를 향한 순례_박성원
1. 탄식의 노래
2. 피조물의 탄식
3. 피조물을 탄식하게 하는 것들
4. 구속을 갈망하는 피조물들의 몸부림
5. 피조물의 평화, 피조물과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신학적 자성
6. 어떻게 할 것인가
7. 새로운 신학적 틀과 새로운 목회학의 창출
8. 현대 문명의 딜레마에 대한 신학적 대안의 출발
9. 생명공동체의 우주적 목회를 위한 구체적 제안
1) 생명공동체 신학의 정립 2) 창조신학적 관점에서 성서 이해 3) 생명공동체의 우주적 목회학 4) 생명농촌 목회자 5) 생명공동체 교회력 6) 생명공동체 기독교교육 7) 생명공동체 선교와 봉사 8) 생명공동체 세계 선교 9) 생명공동체 예술과 문화 10) 생명동산, 생명사회 건설
10. 갈무리하면서

제2장 21세기 지구촌의 상황과 공동체적 행복을 강조하는 마을목회_노영상
1. 오늘의 지구와 세말의 징조
2. 여타의 사회적 위기와 한계선상에 선 교회
3. 오늘의 생명멸절 위기에 대한 신학적 반성
4. 사랑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마을목회
5. 마을을 교회 삼고, 주민을 교인 삼는 목회
6. 마을목회와 마을기업
7. 마을목회와 마을학교
8. 마을목회와 마을환경지킴이
9. 마을목회와 마을병원
10. 마을목회와 마을은행
11. 마을목회와 마을센터
12. 지역사회복지로서의 ‘마을복지’
13. 마을목회의 중심이 되는 마을교회
14. 마을목회의 미래

제2부 도시교회

공명교회 이야기: 나의 삶이 닿아 너의 삶이 되는

목회 | 맞울림되는 공명교회_백흥영
1. 선교를 꿈꾸던 두 목회자, 양평을 선교지로
2. 마을이 곧 나의 교구, 맞울림을 지향하는 공명교회
3. 맞울리는 공명교회와 책보고가게
1) 준비 단계 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책보고가게’
4. 공명교회
1) 교회공동체 2) 다음세대를 세우는 공동체
5. 공명교회의 과제와 지향점

신학 | 관계적 삼위일체론을 구현하는 선교적 교회_이병옥
1. 선교가 교회보다 앞선다: 선교적 교회
2. 하나님의 선교에 공명하다: 공명교회의 시작
3. 공명교회: 공동체 됨
1) 예배 2) 가정예배 3) 성경공부와 양육 프로그램 4) 리더십 구조
4. 책보고가게
5. 신학적 성찰
1)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공명하는 교회 2) 근접 공간으로서 책보고가게: 사랑방 같은 곳 3) 모이는 교회와 흩어지는 교회의 긴장과 조화
6. 나가며

성암교회 이야기: 다시 새롭게 교회를 사랑하기

목회 | 성암교회의 교회론적 전환과 사역 개발_조주희
1.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첫걸음
2. 교회의 변화를 위한 모색
1) 컨설팅 선택 2) 담임목회자의 역할 3) 교회론적 회심
3. 선교적 교회를 향하여: 컨설팅 기법 도입
1) 컨설팅의 목적과 방향 2) 컨설팅의 네 가지 영역 3) 개발한 사역
4. 지역을 통해서 교회의 미래를 보다
5. 맺으면서

신학 | 전통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 성암교회 사례 분석_황인성
1. 서론
2. 변화의 토양
3. 변화의 계기
4. 변화의 내용
1) 선교적 교회론의 지향점 2) 이중언어로의 전환 3) 부정이 아니라 보완이다 4) 이미지를 활용한 점진적 교회론의 변화 5)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5. 운동 주체의 변화
1) 목회자의 리더십: 통제적 리더십에서 퍼실리테이터로 2) 통합적·선교적 리더십 3) 성도와 지역 주민의 주도
6. 변화의 도구로서의 대화
1) 전통 교회 내 대화의 방식 2) 열려 있는, 진정성 있는 태도 3) 지속적인 소통 4) 외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격려
7. 결론

명성교회 이야기: 죽음을 생명으로, 고통을 희망으로

목회 | 경계를 넘어 이웃과 함께하는 명성교회 이야기: 지역사회의 아픔을 치유하는 교회_김홍선
1. ‘건강한 교회 바른 목회’를 향하여
1) 나의 마을목회 이야기 2) 균형 잡힌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 3) 이웃을 향한 사랑 표현, 나눔
2.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잊으면 또 침몰합니다”
3. 결론: 마을목회의 핵심과 평가
1) 마을목회에 대한 접근 2) 마을목회를 위한 공동체의 고백 세우기 3) 세월호 치유 회복을 위한 마을목회에 대한 평가

신학 | ‘참 좋은 교회’ 명성교회의 마을목회_조은하
1. 마을목회를 향한 꿈
2. 선교적 교회로서 명성교회 마을목회의 특징
1) 웨슬리의 사회적 복음 정신을 실천하는 감리교회 2) 하나님 백성 공동체: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선교적 교회 3) 신앙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통전성을 지향하는 교회 4) 종교적 공간을 사회적 공간과 공유하며 마을과 함께하는 교회 5) 역사의식과 영성을 통합하는 교회 6) 여성과 평신도 지도력을 세우는 교회 7) 기후위기 시대, 생명 살림을 실천하는 교회 8) 마을에서 ‘참 좋은 교회’로 소문난 교회
3. 명성교회, 어떻게 ‘참 좋은 교회’로 존재할 수 있었는가
4. 바른 목회, 건강한 교회를 향하여

새롬교회 이야기: 통합적 생명 돌봄망 만들기

목회 | 코로나 재난기 작은 교회의 마음의 생태계와 뜻밖의 성령의 추수_이원돈
1. 코로나 이후 ‘약대동 통합돌봄 마을’로 가는 길
2. 문명 전환기를 겪는 작은 마을교회의 마음의 생태계
1) 탈성장·탈교회 문명 전환기의 작은 마을교회의 마음의 생태계 2) 작은 교회가 마주한 공중권세와 마을교회 3) 가정과 교회와 마을을 잇는 새로운 마음의 생태계
3. 전혀 예상치 못한 길로 인도하시는 성령
1) 코로나 기간 중 약대동에 일어난 일 2) 세대공감 한글교실과 노래교실 3) 수요성서학당 4) 추수감사절과 가을돌봄문화소축제 5) 약대동 돌봄마실(마을심방)
4. 우리는 왜 마을목회협동조합을 세우는가
5. 결론: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뜻밖의 추수

신학 | 새롬교회의 마을목회에 대한 이해_황홍렬
1. 들어가는 말
2. 지역사회 선교에서 마을목회로의 전환
1) 지역과 아동의 시기(1986-96) 2) 가족과 마을의 시기(1997-2012) 3) 생명과 협동의 시기(2013-이후)
3.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새롬교회의 마을목회 이해
1)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 2) 문화와 복음과 교회의 삼자 대화 3) 선교적 지역교회의 신학함과 선교활동 4) 선교적 목회자의 리더십
4. 마을목회의 유형에서 본 새롬교회의 마을목회 이해
5.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특징과 과제
1)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특징 2)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과제
6. 나가는 말

한남제일교회 이야기: 교회는 지역을 섬기고, 지역은 교회를 살리고

목회 | 한남제일교회의 선교적 목회관 및 리더십: 선교하는 예수공동체 ‘그리스도의 삼중직 목회’_오창우
1. 시작하면서: 나의 이야기
2. 선교하는 예수공동체
1) 한남제일교회의 비전 2) 선교적 목회관
3.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
1)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의 사역 2)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의 운영원칙
4. 사명으로서의 선지자 교회
1) 시설 위탁운영 사역 2) 긍휼 사역 3) 문화교실 사역 4) 이주민 사역 5) 마을공동체 사업 사역 6) 사명으로서의 선지자 교회 사역의 세 가지 원칙
5. 자세로서의 왕의 교회
1) 섬김의 왕의 자세 2) 지역사회와 함께 섬기기 3) 참여자들을 존중하며 높이는 자세 4) 섬김의 왕의 사역 5) 자세로서의 왕의 네 가지 운영원칙
6. 선교적 교회를 위한 노력과 어려움과 대안
1) 선교적 교회를 위한 노력 2) 선교적 교회, 마을목회의 어려움 3) 선교적 교회의 대안: 그리스도의 삼중직에서 길을 찾다
7. 결어: 마을목회는 살리기 목회이다

신학 | 지역사회를 섬기는 마을목회_정원범
1. 들어가는 말
2. 마을과 마을목회의 기본 개념
1) 마을의 의미 2) 마을목회의 의미와 실천 배경 3) 마을목회의 목적과 원칙 4) 신학적 성찰
3. 마을목회의 신학적 기초
1) 교회론적 기초 2) 기독론적 기초 3) 신학적 성찰
4. 마을목회의 장애물 넘기
1) 교회 내적 장애물 2) 교회 외적 장애물 3) 신학적 성찰
5. 마을목회의 내용
6. 마을목회의 성과 및 과제
1) 마을목회의 성과 2) 마을목회의 과제 3) 신학적 성찰
7. 나가는 말

수원성교회 이야기: 교회 밖에서 눈부시게 일하는 일꾼

목회 | 하나님의 나라를 세상 속에서 실현하는 교회: 사회선교사제도를 중심으로_안광수, 남기업
1. 수원성교회 목회 이야기
1) 전도 2) 양육 3) 일꾼으로 세움 4) 하나님 나라 만들기
2. 수원성교회 목회원칙
1) 평화 목회 2) 균형 목회 3) 훈련 목회
3.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세상에 심으려고 노력하는 교회
1) 한국교회 최초의 사회선교사제도 2) 4·16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 함께하는 활동
4. 마치며

신학 | 평화와 균형과 훈련을 추구하는 교회_이명석
1. 들어가는 글
2. 담임목사의 생애에 대한 연구: 생애사 연구방법론적 접근
1) 고향의 기억 2) 어린 시절, 아버지에 대한 인상 3) 예수를 믿게 된 동기 4) 신학교 전도사 시절
3. 역사적·지리적·사회적 위치 안에서의 수원성교회
1) 수원의 전근대적 성격 2) 변방성과 역동성을 공재한 수원 율전동
4. 수원성교회의 네 가지 목회원리
1) 전도: 국내 전도, 세계 선교 2) 양육: 제자훈련 3) 일꾼으로 세움 4) 하나님 나라 만들기
5. 수원성교회의 세 가지 목회원칙
1) 평화 목회 2) 균형 목회 3) 훈련 목회
6. 수원성교회: 평화와 균형과 훈련을 추구하는 교회
7. 나가는 글: 제언

제주사랑선교회 이야기: 함께하는 힘, 지역 에큐메니즘

목회·신학 | 지역 복음화를 위한 제주사랑선교회의 선교활동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_서성환, 한국일
1. 서론
2. 제사선의 문제의식과 출발점: 제주도의 역사적·종교적·문화적 특징
3. 제사선의 선교활동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
1) 선교회로서 제사선의 특성과 역할 2) 교회와 목회자들의 친교 3) 변화와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 4) 선교적 교회 운동 5) 지역 에큐메니즘: 제주 복음화를 위해 자생적으로 결성된 선교연합운동 6) 제사선을 이끌어가는 리더십 7) 제사선 회원들이 말하는 제사선의 열매와 한계
4. 결론

제3부 농촌교회

도심리교회 이야기: 알아가고 반응하며 신뢰하고 함께 꿈꾸기

목회 | 삶과 행동으로 실천한 선교: 지역공동체와 교회_홍동완
1. 나의 성장과정
2. 나의 두 주인
1) 하나님 2) 또 다른 나의 주인
3.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나의 영성
1) 행동하는 영성 2) 지속성
4. 지역공동체가 하나님 나라 공동체로 가는 네 계단
1) 알아가는 계단 2) 반응하는 계단 3) 서로 신뢰하는 계단 4) 함께 꿈꾸는 계단
5. 결론: 들풀처럼

신학 | 마을공동체를 세워가는 교회: 도심리교회에 대한 선교학적 평가_조해룡
1. 들어가는 말
2. ‘마을교회’, ‘마을과 함께하는 교회’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
1) 마을공동체운동의 개념 2) 마을공동체운동의 역사적 패러다임 3) ‘마을목회’의 선교적 교회 운동의 적합성
3. 선교사 홍동완 목사의 선교적 삶과 사상
1) 선교하는 하나님 백성의 모형 2) 홍동완 목사의 하나님의 선교: 포테이토 신학, 타자를 향한 사랑 3) 선교적 영성
4. 마을공동체로서 도심리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1) 선교적 소통: 세상의 목소리 경청하기 2) 선교적 예배 추구: 지역섬김예배 3) 선교적 리더십: 반장으로서의 역할
5. 선교공동체로서 도심리교회의 선교적 사역
1) 행복한 삶이 있는 마을 만들기 2) 하늘땅공동체 사업 3) 마을과 함께하는 추수감사예배
6. 선교학적 평가
1) 마을 생태계를 형성하는 선교공동체 2) 소통과 만남의 장을 여는 선교적-플랫폼 교회 3)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선교적 교회
7. 나가는 말

송악교회 이야기: 모든 생명 하늘같이!

목회 | 하나님 나라를 꿈꾸는 송악교회와 마을 이야기_이종명
1. 마을목회의 신학적 토대
2. 왜 마을인가
3. 송악마을과 송악교회 이야기: ‘지역사회를 하나님 나라로’
4.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와 섬김: ‘교회 성도를 지역사회 리더로’
1) 교회 농민선교위원회를 통해 지역 농업을 섬김 2) 도시민들과 함께하는 송악 지역의 활동 프로그램 3) 다양한 농업 생산, 가공, 유통 공동체 조직 4) 생태교육을 주제로 한 마을교육 5) 더불어 사는 공동체 문화 6) 지역 복지사업 7) 에너지 협동조합 설립―에너지 자립
5. 또 하나의 도전, ‘온마을사람들’ 이야기
6. 회복되는 마을
7. 마을이 곧 세계다

신학 | 한국 농촌마을을 하나님의 나라로 세워가는 송악교회: 선교적 교회론에 근거한 선교신학적 고찰_황병배
1. 들어가는 말
2. 송악교회 이야기
3. 선교적 교회의 일곱 가지 핵심 가치
4. 선교적 교회의 핵심 가치로 본 송악교회의 선교적 목회
1) 보냄을 받은 공동체로서의 교회 이해 2) 하나님의 선교: 보내심(선교)의 주체는 누구인가 3) 선교지로서의 지역사회: 하나님은 어디로 우리를 보내시는가 4)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선교의 목적은 무엇인가 5) 통전적 선교: 선교적 교회의 선교사역은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는가 6) 선교적 교회구조: 하나님의 백성이 함께 이끌어가는 팀 리더십 구조 7)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
5. 나가는 말

쌍샘자연교회 이야기: 하나님께 물들고 자연에 스며드는

목회 | 영성, 자연, 문화의 삶이 있는 교회: 자연생태계와 함께하는 생명목회_백영기
1. 무명 들꽃에 이름이 붙고
1) 무엇이라 부르나 보시는 하나님 2) 이름을 얻은 생명이
2. 사적 존재에서 공적인 존재로
1) 선생이 되고, 전도사가 되고, 목사가 되다 2) 교회와 마을의 공동체에서
3. 쌍샘, 설레는 소명과 행복한 일상
1) 소박한 열정이 부르심을 만나 2) 광야의 시간이 축복이었다 3) 바라는 게 없으니
4. 자연을 보며 하나님을 만나다
1) 녹색교회의 이름을 얻다 2)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생태자연도서관 3) 로컬푸드 착한살림, 바람도 쉬어가는 사랑방카페 그리고 단비대안학교
5. 우리는 마을에서 살고지고
1) 하나님의 나라는 마을이다 2) 불필요한 생명과 존재가 없다 3) 쌍샘자연마을에서 벌어지는 일들
6. 사람은 가고 하나님은 계시니
1)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드나 2) 늙은 느티나무는 언제까지 새잎을 피울까
7. 오래된 미래를 꿈꾸며

신학 |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는 선교적 리더십_박보경
1. 들어가는 말
2. 선교적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3. 쌍샘자연교회의 간략한 조망
1) 개척과 쌍샘교회 시절 2) 변화의 시기, 새로운 길을 찾아서 3) 쌍샘자연교회로의 전환 4) 낭성 지역을 넘어서 5) 쌍샘자연교회의 사역
4. 백영기 목사의 선교적 리더십 분석
5. 나가는 말

시온교회 이야기: 즐겁게 상상할 용기

목회 | 문화, 더불어 사는 힘_김영진
1. 여정의 시작
2. 농촌목회
3. 목회자에 이르기까지
4. 마을과 함께
5. 문화사역
6. 농촌을 즐기다
7. 들꽃오케스트
8. 농촌에서 누리는 커피
9. 시온교회와 마을, 마을목회
10. 다시 여정에 서며

신학 | 지역사회와 더불어 사는 시온교회와 김영진 목사의 삶과 사상_김도일
1. 들어가는 말
2. 시온교회의 간략한 역사
3. 김영진이 걸어온 더불어 사는 삶의 여정
4. 시온교회 사역의 신학적 정당성
5. 마을목회와 농촌목회의 기본: 진정성과 사람에 대한 존중
6. 콘비벤츠로서의 시온교회
7. 다음세대와 함께하며 헌신하는 유기적 사역
8. 마을 생태계를 살리는 시온교회
9. 위드 코로나19, 포스트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문화사역
10. 삼위일체 신학적 사역을 펼쳐가는 호모 코퍼라치오 데이
11.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마을교회
12. 나가는 말

구좌제일교회 이야기: 디딤돌을 하나둘 건너다 보니

목회 | 함께 돌보고 배우는 마을교육공동체: 다음세대를 품은 구좌제일교회_박미란
1. 하나님이 부르신 제주와의 인연
2. 내게 주신 달란트를 디딤돌 삼아
1) 구좌 지역 주민으로 살아내기 2) 인사만 잘해도 마을이 보인다 3) 기도와 인내의 시간
3. 별 같은 아이들과 함께
1) 기도의 응답, 작은 공부방 2) 옷을 갈아입다 3) 아이들과의 아름다운 동행 4) 상처가 별이 되는 아이들 5) 모다들엉 함께 성장하는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6) 제주 사랑을 노래하는 구좌어린이합창단 7) 꿈을 연주하는 구좌청소년오케스트라 8) 「바다랑 삼춘이랑 룰루랄라」 노래집과 음반 제작 9) ‘내 고향 지키고 소식 알리는’ 구좌청소년기자단 10) ‘삼춘! 고라줍써’ 동네 삼춘을 만나다 11) 『당근이지!』 마을 이야기 그림
책 12) 온마을학교 ‘별밭’ 13) 별밭에서 일어나는 일들
4. 아이들의 성장과 변화 곧 교회의 성장
1) 나무 심는 사람들 2) 마을 속 교회, 교회 속 마을 3) 마을목회, 디딤돌의 역사

신학 | 서로 돕고 배우며 잔치하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좌제일교회를 중심으로_강아람
1. 들어가는 말
2. 선교적 교회의 마을목회 틀: ‘콘비벤츠’ 선교 개념
3. 마을과 함께하는 마을목회 이야기: 구좌제일교회
1) 길: 대화의 선교 2) 진리: 증언의 선교 3) 생명: 콘비벤츠
4.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구좌제일교회의 마을목회 분석
5. 나가는 말

해남새롬교회 이야기: 이웃의 마음을 줍는 일

목회 | 지역사회 부름에 응답하는 교회_이호군
1. 촌놈의 어린 시절
2. 신앙생활을 시작하며
3. 복음의빛교회를 개척하며
4. 땅끝 해남으로
5. 고민하는 목회의 시작
6. 지역사회를 섬기는 사역
1) 마음을 줍는 사람들 2) 새롬사회봉사단 3) 가정봉사원 파견센터 4) 꿈바라기지역아동센터 5) (주)콩세알 초록가게 6) 해남푸드뱅크 7) 새롬경로식당 8) 해남재능기부센터 9) 스쿨처치 운동 10) 나눔냉장고 사역 11) 청소년 휴카페 12) 다음세대를 위한 사역
7. 목회자의 지역사회 활동 참여
8. 사역의 작은 열매들
9. 교인과 지역 주민의 반응
10. 오늘의 비전

신학 | 해남새롬교회에 대한 마을목회적 관찰_박창현
1. 들어가는 말
2. 선교학적 해석의 틀로서 ‘마을목회’란 무엇인가
3. 마을목회의 관점에서 본 해남새롬교회의 사역
1) 낙후된 지역의 목회지에서 바른 목회를 추구하면 ‘마을목회’로 귀결된다 2) 일상 속에서 생긴 질문을 신앙으로 답하다 3) 하나님을 마을 광장의 한복판으로 초대하다 4) 문제의 출발은 개인이나, 문제 해결은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4. 나가는 말

집필자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3,000원
  • 배송 기간 : 1일 ~ 3일
  •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1553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삼로 60 (본오동) 월드상가 S동 B41호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